마카오하면 카지노가 떠오르시죠.
포르투갈의 식민지 시대를 거쳐 가난한 항구였던 마카오가 카지노를 기반으로 급성장하여 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마카오가 성장하면서 마카오에서 법인설립이나 취업을 하시는 한국분들도 부쩍 늘었습니다.
하지만 어느나라나 마찬가지로, 해외에서 일을 하려면 비자를 우선 받아야합니다. 마카오에서도 취업활동을 하려면 워크퍼밋(Work Permit)이라고 하는 취업비자를 반드시 취득해야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카오 취업비자에 대한 정보를 준비해봤습니다.
목차
마카오 취업비자 (Work Permit) 종류
영주자의 경우 마카오에서 따로 비자 취득이 필요없지만, 비영구 거주자는 일할 때 정식 취업비자를 받아야 합니다.
취업비자는 마카오 인적자원사무실(Human Resources Office)에서 관리합니다.
비영구 거주자가 발급받을 수 있는 비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문직(Specialized Non-Resident Worker)
2. 비전문직(Non-Specialized Non-Resident Worker)
3. 가정부(Non-Resident DomesticWorker)
4. 자영업자(Work Permit for Execution of Self-Profit Activity for Non-Resident)
위 비자 종류 중 자신에게 맞는 비자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마카오 취업비자 취득방법
우선 영주권 자격이 없다면 비영주권자 신분증을 구비하셔야 합니다.
또한 마카오는 투자 목적으로 비자를 신청할 수 있어서 처음 사업이나 취업으로 정착하시려는 분들이 투자비자를 많이 신청하십니다.
이는 마카오무역투자촉진국(IPIM)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임시거주 신청의 두 종류
임시거주 신청은 경영자 및 전문직 종사자와 투자계획등의 두 종류로 크게 나뉩니다.
서류를 준비하고 지원하시면 되며, 승인이 된다면 IPIM에서 통지서를 발급받게 됩니다.
발급받은 통지서를 들고, 마카오 신분증명국(Idenntification Bureau)를 방문하면 마카오 비영주권 신분증 발급이 완료됩니다.
임시거주 신청 서류 종류
신청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ⅰ. 신분증명 서류
여권 원본과 사본 2부, 18세 이하의 경우 출생증명서(원본과 사본 1부), 혼인증명서, 범죄경력증명서, 증명사진 1장(흰색배경, 1.5” X 1.5”), 비영주권자근로자 신분증(Blue Card)
ⅱ. 경영자 및 전문직 관련서류
학력증명서(최종학력증명서 원본과 사본 3부), 이력서(원본과 사본 2부), 전문가 자격증 혹은 전문 직업교육 수료증(원본과 사본 2부), 고용 증명 계약서, 고용주로부터 발급된 직무기술서, 고용주 사업자 등록증, 역외 기업의 경우 역외사업 허가증, 영업개시/변경 신고서와 Receipt of Industrial Contribution, 마카오 내 근로일수가 1년 미만인 경우 재정국에서 발급한 Professional Tax Registration/Alternative Form을 제출해야 하며 근로일수가 1년 이상인 경우 Professional TaxDeclaration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마카오 취업비자 종류 및 취득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라도 마카오에 사업 진출이나 취업을 원하시는 분들께서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마카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카오 영주권 취득방법 및 장점 (0) | 2022.07.06 |
---|
댓글